반응형
※ 매번 비슷한 내용을 구글링하는 것에 답답해서 항목별로 정리하는 글
( 예시로 사용되는 문자열을 a = apple, b = banana 라고 하자. )
▶ 문자열을 특정 기호(문자, 문자열)를 기준으로 나누고 싶어
a.split("기호")
▶ 문자열의 형태를 재정비하고 싶어 (문자열 포매팅)
print("{}".format(a)) # apple
new_a1 = "Hello {string}".format(string=a) # Hello apple
new_a2 = "Hello {0}, {1}".format(a, b) # Hello apple, banana
- {} 자리에 a의 내용이 들어가서 return된다.
- 형태를 재정비하고 싶으므로 " " 사이에 원하는 형태를 쓴다.
- string처럼 변수명을 지정할 수 있다. 또는 index로 지정할 수 있다(0 → a, 1 → b를 의미)
▶ 문자열에 특정 문자(문자열)가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싶어
if 특정문자 in 문자열:
### 실행할 내용
▶ 문자열을 숫자형으로 변환하고 싶어
int(a)
float(a)
▶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(문자열)을 제거하고 싶어
a.replace("특정문자","")
반응형
'Data Science : Study > 1.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Python : (pandas) DataFrame 컬럼 다루기 (0) | 2020.02.28 |
---|---|
Python : (pandas) DataFrame 날짜 다루기 (0) | 2020.02.28 |
Python : (pandas) DataFrame의 기본 (0) | 2020.02.28 |
Python : 조건문(if-else) (0) | 2020.02.28 |
Python : For문 (0) | 2020.02.28 |